본문 바로가기

취약점3

JWT(JSON Web Token)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JWT (JSON Web Token) 이란 [개념] - 웹표준(RFC 7519)을 따르며, JSON 객체(key-value가 한 쌍을 이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함. - 인증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한 객체에 담에서 전달. - 주로 로그인 과정에서 인증할 때 사용됨. [구조] - . (dot)을 구분자로 함 헤더(header).내용(payload).서명(signature) 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zdWIiOiIxMjM0NTY3ODkwIiwibmFtZSI6IkpvaG4gRG9lIiwiaWF0IjoxNTE2MjM5MDIyfQ.SflKxwRJSMeKKF2QT4fwpMeJf36POk6yJV_adQssw5c - Hea.. 2024. 2. 27.
UAF 공격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UAF (Use After Free) 취약점 힙(Heap)은 동적으로 메모리 할당(malloc)/해제(free)가 되는 부분. 힙 영역 중 사용 중이 아닌 공간(unused heap)은 이중 연결 리스트로 관리. 중간에 메모리 해제가 발생하면 해당 영역이 연결 리스트에 추가되며, 새로 메모리 할당 요청이 오면 연결리스트의 첫번째 매칭(first fit)영역을 할당. 할당했던 메모리 해제 후 재할당해서 사용할 때 같은 크기로 재할당 할 경우 이전에 사용(use)했던 메모리 공간을 재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전에 할당했을 때처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UAF(use after free)공격. (최근 운영체제에서는 재할당 X) 해제된 공간 재할당 확.. 2021. 11. 6.
System Exploitation Fundamental #1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4.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