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금융 || 상식5 법령 / 시행령 / 시행 규칙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7. 7. 한계 효용 ZERO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자본주의 시스템이 치열한 경쟁으로 계속해서 발전하다가 그 생산성이 최고점에 달해 생산을 위해 필요한 한계비용이 제로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계비용: 고정비용을 제외하고 총비용 증가분을 생산량 증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비용 한계비용이 없어지면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공짜가 되고, 이윤이 없어지며 시장이 무의미해진다. 제로 수준의 한계비용은 현재에도 이미 출판업계, 통신업계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그 현상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가상의 공간인 메타버스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행사가 열린다. 한계비용이 제로화 된다면 기업들은 어떻게 이익을 낼 수 있을까 많은 IT기업들이 공짜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계속해서 개발하여 업데이트 해.. 2022. 3. 14. 은행의 시초와 금리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은행은 중세시대에 금을 돈처럼 거래하던 것에서 시작되었다. 무거운 금을 가지고 다니기 어려워 골드 스미스에게 금을 맡기고 보관증을 받았는데, 이를 금본위제라고 한다. 거래를 할 때마다 금을 찾는 것이 귀찮아진 사람들은 점점 보관증으로만 거래를 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화폐처럼 쓰이게 되었다. * 당시엔 직업에 따라서 성을 썼는데 대장장이를 스미스라고 했고 그 중 금을 세공하는 사람을 골드 스미스라고 함 이때 골드스미스는 보관증=금이면 현재 있는 금의 양과 상관없이 보관증을 써서 유통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모든 사람이 한번에 금을 찾으러 오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은행들도 실제 현금은 예금한 돈의 10%도 안되는 금액만 가지고 있다고 한다. .. 2022. 3. 10. 디지털 디바이드와 디지털 원주민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디지털 디바이드란 한마디로 정보격차를 의미한다. 1990년대 미국에서 사용된 신조어로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격차의 원인이다. 디지털이 발전하면서 그 발전 속도를 따라가는 사람들은 경제적으로 발전하는 반면, 디지털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발전에 뒤쳐지며 그 격차가 커진다. 정보 격차는 경제적, 교육 및 지역에 따라 심화된다. 저소득층 가정은 중산층 이상의 가정에 비해 디지털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보격차가 커지고, 이는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이로 발전한다. 정보화가 발전하면서 그 초기에는 통신의 발전으로 지구의 모든 나라가 가까워지는 글로벌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보 격차가 심해지면서 그 간극이 심해지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드를 극복.. 2022. 3. 7. Markdown 사용하기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Markdown 사용하기 머릿말 1. === (= #) 2. --- (= ##) 3. # (##, ###..) 강조 1. **굵은 글씨** 2. ~~취소선~~ 3. `강조할 단어` 소스 코드 블럭 1. ```소스코드```해당언어(html, javascript, c, python..) 2. ~~~소스코드~~~ 링크 1. [텍스트](링크) 2. [텍스트](#헤더-네임) 3. [텍스트](#코드-블럭) 목록 숫자 → 1. 2. 3. 목록 → -, * 수평선 * * * ***** - - - ----- 단락 분리 1. Enter키 두번 2. 태그 사용 이미지 업로드 - 이미지의 주소가 있는 경우 ![설명글](이미지주소) - 이미지의 주소가 없는 경우(저장된 이미지) 1.. 2020. 11.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