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2 SMTP PORT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이론 공부를 하면서 많이 봤던 SMTP에 대해 그동안 TCP 25번 포트만 알았었는데, 이번에 그라파나와 구글 메일을 연동할 때 mail server default port로 587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SMTP가 사용하는 포트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전자우편 전송 프로토콜로 Sender → Mail Server, Mail Server → Mail Server로 메일 전송시 사용함. PORT 25 : RFC 821에서 제안되어 오랜 시간동안 SMTP default port 로 사용됨. 하지만 오래되어 보안 상 다른 포트에 비해 취약. 대부분의 ISP 및 클라우드 호스.. 2022. 7. 1. 아파치 톰캣 (Apache and Tomcat)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아파치 (Apache) - port 80 - 흔히 사용하는 아파치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크로스 플랫폼 HTTP 웹 서버(Web server). - 여러 운영체제에서 동작이 가능하며, 80번 포트인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해 정적인 데이터(HTML, CSS, 이미지)를 처리하는 웹 서버. * 웹 서버 = 클라이언트가 POST, GET, DELETE 등의 메소드를 이용해 요청한 것을 받아 그 결과를 돌려주는 기능. ex_ Apache사의 Apache, Microsoft사의 IIS 등 (하드웨어에서 웹 서버란 웹 서버 소프트웨어와 웹 사이트의 구성 요소 파일을 저장하는 컴퓨터 ex_HTML문서, 이미지, CSS 스타일 시트 및 JS파일) - 장점: 처.. 2022. 7. 1. COS Pro 2급 python 1차 문제 1 (구현) A 학교에서는 단체 티셔츠를 주문하기 위해 학생별로 원하는 티셔츠 사이즈를 조사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티셔츠 사이즈는 작은 순서대로 "XS", "S", "M", "L", "XL", "XXL" 총 6종류가 있습니다. 학생별로 원하는 티셔츠 사이즈를 조사한 결과가 들어있는 리스트 shirt_siz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사이즈별로 티셔츠가 몇 벌씩 필요한지 가장 작은 사이즈부터 순서대로 리스트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매개변수 설명 학생별로 원하는 사이즈를 조사한 결과가 들어있는 리스트 shirtsize가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hirtsize 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shirt_size 에는 치.. 2022. 5. 23. 기술 면접 준비 1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5. 21. 기술 면접 준비 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5. 21. DoS / DDoS / DRDoS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네트워크 기반 공격 중 DoS / DDoS / DRDoS DoS(Denial of Service) : 정상적인 서비스 사용을 못하게 만들어 가용성을 떨어트리는 공격, 단일 PC를 이용해 공격 공격 방식 - Ping of Death: 아주 큰 ping (ICMP echo request) 패킷을 만들어 전송하여 MTU에 의해 다수의 IP 단편화 발생 유도 * ICMP 패킷은 20byte의 IP 헤더 부분을 제외하면 1480byte가 최대 크기 > 대응책: 보통 ICMP 패킷은 분할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분할된 패킷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공격 의심 - Land Attack: source IP와 destination IP가 같은 패킷을 만들어 자기 자신에게 응답을 보.. 2022. 5. 18. API 보안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API (Application Platform Interface) : 응용프로그램 개발시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C, java, python 등)에 있는 라이브러리(Library)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의해놓은 인터페이스. 점차 표준 API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 API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비스를 연결하는 경우가 많아져 API가 손상되거나 해킹되면 데이터 유출이 발생할 수 있음. 이에 따라 앞으로 보안 상 API가 주요 공격 대상이 됨. 특히 내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호출하는 REST API는 더욱 보안이 필요함. API 접근 방식 - Open API: 백엔드에 서버를 .. 2022. 5. 16. 한계 효용 ZERO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자본주의 시스템이 치열한 경쟁으로 계속해서 발전하다가 그 생산성이 최고점에 달해 생산을 위해 필요한 한계비용이 제로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계비용: 고정비용을 제외하고 총비용 증가분을 생산량 증가분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비용 한계비용이 없어지면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공짜가 되고, 이윤이 없어지며 시장이 무의미해진다. 제로 수준의 한계비용은 현재에도 이미 출판업계, 통신업계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그 현상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가상의 공간인 메타버스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행사가 열린다. 한계비용이 제로화 된다면 기업들은 어떻게 이익을 낼 수 있을까 많은 IT기업들이 공짜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계속해서 개발하여 업데이트 해.. 2022. 3. 14. 은행의 시초와 금리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은행은 중세시대에 금을 돈처럼 거래하던 것에서 시작되었다. 무거운 금을 가지고 다니기 어려워 골드 스미스에게 금을 맡기고 보관증을 받았는데, 이를 금본위제라고 한다. 거래를 할 때마다 금을 찾는 것이 귀찮아진 사람들은 점점 보관증으로만 거래를 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화폐처럼 쓰이게 되었다. * 당시엔 직업에 따라서 성을 썼는데 대장장이를 스미스라고 했고 그 중 금을 세공하는 사람을 골드 스미스라고 함 이때 골드스미스는 보관증=금이면 현재 있는 금의 양과 상관없이 보관증을 써서 유통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모든 사람이 한번에 금을 찾으러 오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은행들도 실제 현금은 예금한 돈의 10%도 안되는 금액만 가지고 있다고 한다. .. 2022. 3. 10. 디지털 디바이드와 디지털 원주민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디지털 디바이드란 한마디로 정보격차를 의미한다. 1990년대 미국에서 사용된 신조어로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격차의 원인이다. 디지털이 발전하면서 그 발전 속도를 따라가는 사람들은 경제적으로 발전하는 반면, 디지털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발전에 뒤쳐지며 그 격차가 커진다. 정보 격차는 경제적, 교육 및 지역에 따라 심화된다. 저소득층 가정은 중산층 이상의 가정에 비해 디지털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보격차가 커지고, 이는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차이로 발전한다. 정보화가 발전하면서 그 초기에는 통신의 발전으로 지구의 모든 나라가 가까워지는 글로벌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보 격차가 심해지면서 그 간극이 심해지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드를 극복.. 2022. 3. 7. selenium을 이용한 crawler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selenium : firefox, internet explorer, chrome 등과 같은 브라우저를 컨트롤. python 3.6이상부터 pip로 library 설치 가능, 각 브라우저에 맞는 driver가 필요하다 * chrome을 사용하는 경우 chromedriver.exe 필요 https://sites.google.com/chromium.org/driver/ ChromeDriver - WebDriver for Chrome WebDriver is an open source tool for automated testing of webapps across many browsers. It provides capabilities for navigating to.. 2022. 2. 8. [Algorithm]Dijkstra 최단 경로 알고리즘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최단 거리 알고리즘 Dijkstra 알고리즘 - 그래프에서 여러 개의 노드가 있을 때 특정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가는 각각의 최단 경로 (0보다 적안 값을 가지는 간선이 없어야 함) = greedy 알고리즘(가장 비용이 적은 노드 선택) - 최단경로를 구하는 과정에서 각 노드에 대한 현재까지의 최단거리를 1차원 리스트에 계속 갱신 = 최단 거리 테이블 - 출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거리는 '무한' = 999,999,999(=약 10억) = 1e9 = 주로 int(1e9)로 초기화 - 최단 거리가 같은 경우 주로 더 작은 번호의 노드를 선택 - 최단 거리를 갱신할 수 있는 최단 거리가 없는 경우 최단 거리 테이블을 갱신하지 않음 - 이미 방문처리.. 2022. 1. 27.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728x90 반응형